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 fun

세균성 식중독 종류와 예방법

by 아베끄누 2022. 9. 26.
반응형

여러분! 혹시 식중독을 여름에만
 조심하면 된다고 알고있나요?

NO! 아닙니다.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식중독 발생의 경우 
가을(9~11월)이 여름(6~8월)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비까지 자주 내리며
습도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특히 식중독균은 이런 
습도 높은 환경을 매우 좋아한다고 합니다.

이런 날씨에는 식재료 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어
더욱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식중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식중독은 무엇인가?

식중독이란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감염성·독소형 질환입니다.

2. 식중독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식중독의 원인은 크게
 미생물과 화학물질로 구분합니다.
 미생물로 인한 식중독은 세균성 식중독​과 
바이러스성 식중독으로 정의하고
세균성 식중독은
독소형과 감염형으로 세분화됩니다. 
또 식중독을 일으키는 화합물질은
 자연독(동물성, 식물성, 곰팡이), 인공 화합물
 (식품첨가물, 잔류농약, 메탄올 등)
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오늘 우리가
 주목해야 할 원인은
 세균성 식중독인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식중독이기 때문입니다.

 

 

 

세균성 식중독은 
세균의 독소로 오염된 음식을 먹거나,
 세균을 직접 섭취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세균성 식중독의
 대표적인 원인균으로는 
웰치균(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병원성 대장균, 장염비브리오, 살모넬라균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세균들은
 어디서 오는 건지 하나하나 알아볼까요? 

첫째, 장염비브리오의 경우엔 
오염된 어패류나 그런 어패류를
 취급한 칼, 도마 등에서 서식합니다.

 두 번째로 웰치균의 경우는
 대형 용기에서 조리된 수프, 국, 카레 등을 
방치할 때 발생합니다. 

마지막으로 살모넬라의 경우
 계란이나 식육류, 또는 
분변에 오염된 식품에서 발견됩니다.


3. 식중독의 증상은 무엇일까요?


그렇다면 식중독의 증상엔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구토, 복통, 설사 등이 있으며
식중독이 심해질 경우 근육경련,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런 증상이 발생하면 
어떻게 조치해야 할까요?

 일단 음식 대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야 합니다.

 

 


그냥 물을 드시는 것도 좋지만
 끓인 물 1L에 설탕 4숟가락, 소금 1숟가락
 타서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대체품으로 
이온 음료를 드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설사 및 구토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미음이나 죽을 섭취하시면 됩니다.

이때, 설사와 구토를 멈추기 위해서 
지사제와 항구토제를 드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식중독 증상의 완화를 늦추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설사와 구토는 체내에 존재하는 균을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약물들이 균의 배출을 
억제하기 때문이죠.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위와 같은 조치를 통해 회복될 수 있으나
 혈변 및 심각한 탈수, 고열 등의 
증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지체하지 않고 병원을 방문하셔서
 치료받으셔야 합니다.

 



4. 식중독 예방법은?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선
 6대 수칙​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첫째, '손 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으시고
조리 및 화장실 사용 전후, 식사 전에는
 꼭 손을 씻으셔야 합니다.

둘째, '익혀 먹기'
 육류는 75℃, 어패류는 85℃ 이상의 온도로
 1분 이상 가열해서 드셔야 합니다!

셋째, '끓여 먹기'
물은 끓여서 마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넷째, 조리기구 '구분 사용하기'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용도별(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로
 조리기구를 구분합니다!

다섯째, '세척 및 소독하기'
 과일과 채소 등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어서 섭취하고 
주방, 조리도구 등은 
열탕소독 또는 염소소독을 실시합니다!

여섯째, '보관 온도 지키기'
냉장식품은 5℃ 이하, 
냉동식품은 -18℃ 이하로 보관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식중독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