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외관, 향미, 조리 또는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량 첨가되는 물질을 식품첨가물이라고 합니다.
식품첨가물이 없다면 보존이 어렵거나 제조 가공중에 손실되는 영양소를 보충할 수 없으며
팽창제가 없다면 빵은 딱딱해지고 응고제가 없으면 젤리나 두부는 만들 수도 없습니다.
이러한 식품첨가물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식품첨가물의 정의식품첨가물 내용 |
1. 식품첨가물의 정의
식품을 제조•가공•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甘味), 착색(着色), 표백(漂白)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합니다.
이 경우, 기구, 용기, 포장을 살균, 소독하는 데에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합니다.
가공식품에 식품첨가물의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1) 감미료 식품에 단맛을 부여하는 식품첨가물 (예)아세설팜칼륨
(2) 고결방지제 식품의 입자 등이 서로 부착되어 고형화 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식품첨가물 (예)이산화규소
(3) 거품제거제 식품의 거품 생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식품첨가물 (예)규소수지
(4) 껌기초제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을 갖는 비영양성의 씹는 물질로서 껌 제조의 기초 원료가 되는 식품첨가물 (예)로진
(5) 밀가루개량제 밀가루나 반죽에 첨가되어 제빵 품질이나 색을 증진시키는 식품첨가물 (예)염소
(6) 발색제 식품의 색을 안정화시키거나,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 (예)아질산나트륨
(7) 보존료 미생물에 의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 식품첨가물 (예)소브산, 안식향산
(8) 분사제 용기에서 식품을 방출시키는 가스 식품첨가물 (예)이산화탄소
(9) 산도조절제 식품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조절하는 식품첨가물 (예)구연산
(10) 산화방지제 산화에 의한 식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 (예)이.디.티.에이.이나트륨
(11) 살균제 식품 표면의 미생물을 단시간 내에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식품첨가물 (예)차아염소산나트륨
(12) 습윤제 식품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첨가물 (예)폴리덱스트로스
(13) 안정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일정한 분산 형태로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 (예)결정셀룰로스
(14) 여과보조제 불순물 또는 미세한 입자를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예)규조토
(15) 영양강화제 식품의 영양학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제조공정 중 손실된 영양소를 복원하거나, 영양소를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 (예)비타민C
(16) 유화제 물과 기름 등 섞이지 않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phases)을 균질하게 섞어주거나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 (예)레시틴
(17) 이형제 식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원료가 용기에 붙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식품첨가물 (예)유동파라핀
(18) 응고제 식품 성분을 결착 또는 응고시키거나, 과일 및 채소류의 조직을 단단하거나 바삭하게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 (예)염화마그네슘
(19) 제조용제 식품의 제조·가공 시 촉매, 침전, 분해, 청징 등의 역할을 하는 보조제 식품첨가물 (예)니켈
(20) 젤형성제 젤을 형성하여 식품에 물성을 부여하는 식품첨가물 (예)젤라틴
(21) 증점제 식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식품첨가물 (예)펙틴
(22) 착색료 식품에 색을 부여하거나 복원시키는 식품첨가물 (예)포도과피색소
(23) 청관제 식품에 직접 접촉하는 스팀을 생산하는 보일러 내부의 결석, 물 때 형성,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하는 식품첨가물 (예)청관제
(24) 추출용제 유용한 성분 등을 추출하거나 용해시키는 식품첨가물 (예)이소프로필알콜
(25) 충전제 산화나 부패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기 위해 식품의 제조 시 포장 용기에 의도적으로 주입시키는 가스 식품첨가물 (예)질소
(26) 팽창제 가스를 방출하여 반죽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식품첨가물 (예)탄산수소나트륨
(27) 표백제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예)무수아황산
(28) 표면처리제 식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정돈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예)탤크
(29) 피막제 식품의 표면에 광택을 내거나 보호막을 형성하는 식품첨가물 (예)밀납
(30) 향미증진제 식품의 맛 또는 향미를 증진시키는 식품첨가물 (예)L-글루탐산나트륨
(31) 향료 식품에 특유한 향을 부여하거나 제조공정 중 손실된 식품 본래의 향을 보강시키는 식품첨가물 (예)바닐린
(32) 효소제 특정한 생화학 반응의 촉매 작용을 하는 식품첨가물 (예)알파-아밀라아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마바우처 신청 방법? 자격? 우리동네 안마원 찾기 (0) | 2023.02.17 |
---|---|
방사능(방사성)과 방사선 차이? (0) | 2023.01.09 |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증상, 예방법 6가지 (0) | 2022.12.27 |
탈모약(프로페시아, 아보다트) 부작용에 대한 기사 요약 (0) | 2022.12.23 |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자격(직장가입자 취득신고서 양식)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