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세금 주식

청년 도약 계좌(청년 내일 저축 계좌) 연소득 2,400 이하/이상 일때

by 아베끄누 2022. 10. 26.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이 변형된 상품입니다.

 

지원대상

만 19세 ~ 34세로 지금 현재 재직 중인 청년을 대상

연소득 형태에 따라 정부가 추가적으로 납입금을 지원해주는 제도라 보시면 됩니다.

 

10년 동안 불입하는 적금입니다!!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구간은 2022년 시행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구 소득 및 재산기준 적용
  • 연소득 2,400만원 이상 구간에도 가구소득 및 재산기준 적용
  •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구간에는 납입액의 일부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 제공
  • 월 70만원씩 연 3.5% 복리로 10년을 납입하면 1억원이 됨
  • 본인 기여 한도액이 더 낮은 경우 저축비례 정부기여한도는 본인기여분에 비례하여 지원.
  • 소득 변화에 따라 구간이 자동적으로 변화

 

청년도약 신청대상 및 지원금액
청년도약계좌 신청대상 및 지원금액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 19~34세 일하는 청년을 기준으로 하며 희망적금에서는 청년들을 위해, 병역 또한 인정해줬습니다.

더불어 총급여 3600만원이였던 희망적금에 대비했을 때 납입금은 월70만원 한도로 진행됩니다.

더불어, 소득분위에 따라서 지원액이 다른데요. 

월 70만원을 한도로 하며 

연소득 2400만원 이하 일때 매월 40만원, 

3600만원 이하 매월 20만원, 

4800만원 이하 매월 10만원, 

4800만원 초과는 비과세로 진행이 되며, 

2400만원 기준 청년도약계좌는 10년이라는 기간동안 5754만원의 혜택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현재 청년도약계좌는 희망적금보다 가입대상이 많이 확대됐으면서도 지원금이 많아졌기에, 

많은 인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400만원 소득자를 기준으로 가입자는 매달 30만원까지 저축할 수 있으며, 

정부에서 40만원을 지원해 한도인 70만원을 채우게 됩니다.

 

 

청년도약 신청 기간 및 방법
도약계좌 1년 예산이 7조가 넘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중복가입이 안된다는 점을 명시하며

재정으로 지원하는 유사제도와의 중복 가입 지원을 방지한다고 명시했는데요.

희망적금을 가입한 290만명의 대상은 어렵다는 얘기가 되기도 합니다.

지난해 7월을 기준으로 20-34세 취업자가 630만명 선인 만큼, 예산마련도 아쉬움을 겪고 있기는 한데요. 

해당 부분은 점차 개선점에 따라 변경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청년도약계좌 신청에 대한 부분은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만, 

곧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상황으로 하고 있으며, 은행권에서는 점차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출시기간 및 가입방법, 신청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다음글을 통해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방법 대상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정리해봤는데요. 

아마 모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모두 참고하셔서 원할히 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